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우울제 종류인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 SSRI(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약물을 중심적으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세로토닌은 기분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입니다. 낮은 세로토닌 수치는 우울증 발병과 연관성이 있다고 알려져있습니다.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는 세로토닌이 신경세포로 재흡수되는 걸 막아주며 이런 기전에 따라 뇌의 세로토닌 수치가 높아져 우울증 경감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평가됩니다.SSRI는 일반적으로 다른 항우울제 종류에 비해 부작용이 적은 약물로 세로토닌 수치를 조절하여 우울증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항우울제 종류
플루옥세틴 (Fluoxetine) 상품명 푸로작, 폭세틴 등
공황, 강박, 우울, 섭식장애에 사용되고 있는 플루옥세틴은 SSRI약물(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중 반감기가 가장 길어서 1일 1회 복용으로 충분한 것이 장점입니다. 긴 반감기로 약물을 중단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이상 반응이 적으므로 다른 약물로 치환하기도 비교적 쉬우며
집중력을 높여주는 특성 때문에 젊은 층에 선호되기도 합니다.
설트랄린(Sertraline) 상품명 졸로푸트 등
우울, 강박, 공황, 불안, 외상 후 스트레스, 월경전 불쾌감 장애 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강력한 5-HT 수송체의 억제 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1일 용량은 50~200mg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반감기는 약 26시간 정도이기 때문에 하루 1회 복용할 수 있어 간편합니다. 비교적 약물상호작용이 적은 편이며 내과 질환이 있거나 노인들에게 처방하기 적합합니다. DA수송체의 억제 작용으로 인하여 주의력, 인지 기능 문제를 동반한 우울증 환자에게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심근경색, 협심증 등과 같은 심장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구역질, 설사, 갈증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파록세틴(Paroxetine) 상품명 팍실, 세로자트 등
우울, 공황, 강박, 범불안, 사회불안장애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항히스타민성, 항콜린성, 작용을 하므로 불안증세의 진정 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일 용량은 20~60mg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감기가 짧은 편으로 갑작스럽게 투약을 중단하면 금단증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피로, 졸림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서 복용해야 합니다.
에스시탈로프람(Escitalopram Escitalopram) 상품명 렉사프로 등
우울증뿐 아니라 범불안 장애에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1일 10~20mg의 용량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감기는 27~32시간 정도입니다. 약물 순응도 상호작용에 우수하지반 설사, 졸림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서 복용해야 합니다.
플루복사민(Fluvoxamine) 상품명 푸록틴, 푸록작, 듀미록스정 등
SSRI계열의 항우울제로서 1일 용량 50~100mg입니다. 반감기가 16시간으로 짧기 때문에 1회 2회 투여가 필요합니다. 불안증상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항우울제 복용시 주의사항
복용 기간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와 같은 항우울제의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최소 2 ~ 4주가량의 기간이 필요합니다. 또한 해당 약을 최소 6달 이상 복용해야 우울증의 재발을 예방할 수 있다고 알려져있습니다.
제한 대상
양극성 장애, 혈우병, 당뇨병, 뇌전증(간질), 녹내장, 간, 신장 관련 질환을 앓는 경우에는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사용이 적절하지 않습니다. 아동 및 18세 미만 청소년 또한 해당 약이 권고되지 않습니다.
임신부 및 수유부
파록세틴과 같은 약제는 임신부에게 권장되지 않는 편입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항우울제가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력은 적다고 평가되어 임신부 및 수유부의 우울증약 복용은 의사와의 충분한 상담을 거쳐 결정해야 합니다.
구토 방지
구토 및 메스꺼움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식후에 약을 복용하거나 자기 전에 복용하는 것이 도움이됩니다.
다른약들과 상호작용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는 삼환계 항우울제, 이부프로펜 등 비스테로이드성소염진통제(NSAIDs), 클로피도그렐 등 항혈소판제, 테오필린 등 천식 치료제, 리튬과 같은 양극성 장애 치료제, 트립탄 등의 약과 상호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복용시 유의해야 합니다.
음식과 상호작용
항우울제를 복용하면 졸림 및 우울증 악화를 유발할 수 있는 술 등 알코올 음료를 멀리해야 합니다. 또한 플루복사민과 같은 항우울제는 카페인의 효과를 강화시키기 때문에 커피, 탄산음료, 차 등의 섭취를 줄여야 합니다.
건강보조식품 상호작용
세인트존스워트, 아슈와간다 등의 보조제는 우울증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있지만 이러한 보조제와 항우울제를 병용할 경우 심각한 위해가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부가적인 효과
위에 언급된 항우울제 종루들은 우울증 증상을 경감하는 효과 외에도 불안장애를 해소하는 효과를 갖고 있습니다. 또한 부프로피온과 같은 약은 금연에 도움이 된다고 하며 둘록세틴은 통증 완화, 아미트립틸린은 편두통 감소 효과가 있다고 평가됩니다.
마치며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를 포함한 우울증약은 중독 또는 의존성을 초래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갑자기 복용을 중단하면 일종의 금단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메스꺼움, 불편한 느낌, 어지럼증, 무기력증, 독감과 비슷한 증상 등이 발현한다. 따라서 항우울제는 의사의 지도 하에 점차 복용량을 줄이는 방식으로 끊어야 합니다. 지금까지 항우울제 종류와 항우울제 복용시 주의사항에 대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우울증 극복방법
우울증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합니다. 증상의 경도에 따라 전문가의도움을 받는 것이 필요할 수 있으며 정신건강 전문가는 우울증의 정도와 유형을 평가하고 적합한 치료 방법
mind.roiud.com
도움이 되는 글